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포토갤러리

내려앉은 잇몸, 과연 다시 차오를까요? 잇몸 퇴축의 정보와 현명한 대처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21세기치과 2025-06-18 16:14:27 조회수 26

안녕하세요.

자연치아를 소중히 생각하는 상동21세기치과입니다.

 

"이가 길어 보여요"

"양치할 때 시리고 아파요"

"잇몸이 점점 내려가는 것 같아요"

 

저희 치과에 방문하시는 많은 분들이 잇몸 퇴축으로 인한 불편함과 걱정을 이야기하십니다.

한 번 내려앉은 잇몸은 자연적으로 재생되지 않는다는 이야기에

많은 분들이 좌절하시기도 하는데요.

 

"과연 잇몸은 정말 재생이 불가능한 걸까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잇몸 퇴축의 원인부터 현재 가능한 치료법,

그리고 잇몸 재생의 한계와 최신 지견까지 안내드리겠습니다.

 

 

?

"잇몸 퇴축, 왜 생기는 걸까요?"

 

잇몸 퇴축은 치아를 단단히 감싸고 있던 잇몸 조직이 점차 뿌리 방향으로 내려가 치아의 뿌리(치근)가 겉으로 노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단순히 '치아가 길어 보이는' 미용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강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장 흔하게 잇몸 퇴축을 유발하는 원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잘못된 칫솔질(강한 힘! 과한 마찰!) : 가장 흔하면서도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 원인입니다. 너무 강한 힘으로 칫솔질을 하거나, 좌우로만 과하게 문지르면서 닦는 습관은 잇몸에 물리적인 손상을 주어 잇몸 조직을 마모시키고 손상시켜 잇몸 퇴축을 유발합니다. 특히 얇고 약한 잇몸 조직을 가진 경우 더욱 취얄할 수 있습니다.

 

·?잇몸 질환(치은염&치주염) : 플라그와 치석이 잇몸에 쌓여 염증을 발생하고, 이 염증이 심해져 잇몸뼈(치조골)까지 진행되면 잇몸뼈가 녹아내리면서 잇몸도 함께 내려앉게 됩니다. 잇몸 질환은 잇몸 퇴축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 :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의 모든 조직이 노화하듯이, 잇몸 조직도 자연적으로 약해 지고 위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생리적 현상이기도 합니다.

 

·?부정교합 및 비정상적인 교합력 : 치아 배열이 고르지 않거나 특정 치아에 과도한 씹는 힘이 가해지면, 해당 치아 주변 잇몸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퇴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갈이나 이 악물기 같은 습관도 원인이 됩니다.

 

·?치아우식증 : 치아 뿌리에 충치가 생긴 경우에도 잇몸 퇴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흡연 : 흡연은 잇몸의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면역력을 저하시켜 잇몸 질환을 악화시키고 잇몸 퇴축을 촉진합니다.

 

?유전적 요인 : 선천적으로 잇몸이 얇거나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 다른 원인이 없어도 잇몸 퇴축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

"한 번 내려간 잇몸, 과연 재생될 수 있을까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 안타깝지만 현재까지는 자연적으로 퇴축된 잇몸이 저절로 원래의 위치까지 재생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잇몸 조직은 한 번 손실되면 피부처럼 새살이 돋아나는 방식으로 완전히 복구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재생"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대 치의학에서는 단순히 잇몸이 '스스로' 자라나게 하는 것을 넘어,

소실된 잇몸 조직을 '재건' 또는 '이동'시켜 기능을 회복하고 심미성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진정한 '재생'의 의미 : 치과에서 말하는 '조직 재생'은 치아를 둘러싼 잇몸뼈(치조골), 치주 인대, 백악질(치아 뿌리 표면) 등 치주 조직 구성 요소들이 손상 전의 상태로 완전히 복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모든 조직을 완벽하게 재생시키는 것은 현재 매우 어렵습니다.

 

현재의 '재건' 또는 '이동' 치료 : 대신, 치과에서는 잇몸 퇴축으로 노출된 치아 뿌리를 덮고, 잇몸의 양과 형태를 개성하여 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에 중점을 둡니다. 이는 소실된 잇몸이 '스스로' 다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위의 조직을 이식하거나 잇몸을 이동시켜 '덮는' 개념에 가깝습니다.

 

"잇몸 퇴축, 어떻게 치료하고 관리해야 할까요?"

 

자연적인 재생은 어렵지만, 잇몸 퇴축의 진행을 멈추고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존재합니다.

 

1. 원인 제거 및 생활 습관 개선


·?올바른 칫솔질 교육 : 너무 강한 힘으로 닦지 않으며, 회전법 등으로 올바르게 닦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스케일링 및 잇몸 치료 : 잇몸 질환이 원인이라면, 치석과 플라그를 제거하고 염증을 치료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이갈이/이 악물기 습관 교정 : 필요시 치과에서 제작되는 마우스피스 착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금연 : 잇몸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2. 노출된 치근면 처리


·?레진 치료 : 노출된 치아 뿌리 부분이 시리거나 충치가 생길 우려가 있을 때, 치아 색과 유사한 레진으로 뿌리 부분을 덮어 시린 증상을 완화하고 충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지각과민 처치 및 불소 도포 : 시린 증상이 심할 경우, 치과에서 증상을 완화하는 약제를 도포하거나 불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3. 수술적 치료(잇몸 이식술 등)


·?잇몸 이식술 : 잇몸 퇴축이 심하여 치근이 많이 노출되었거나, 심미적인 개선이 절실할 때 고려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입천장에서 건강한 잇몸 조직을 채취하여 퇴축된 부위에 이식하여 잇몸의 양과 높이를 회복시키는 방법입니다.

-상피하 결체조직 이식술 : 입천장의 상피 아래 결합조직을 채취하여 이식부 내부에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노출된 치아 뿌리를 커버하며, 심미성과 기능성을 회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유리 치은 이식술 : 입천장의 겉살을 떼어내서 이식부에 덧붙이는 방법입니다. 주로 잇몸의 양을 늘려야 할 때 사용됩니다.

·?치관 판막 이동술 : 퇴축된 부위 주변의 건강한 잇몸 조직을 이동시켜 노출된 치근을 덮는 방법입니다. 주변 잇몸의 혈액 공급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잇몸 재생, 미래에는 가능할까요?"

 

현재까지 잇몸의 완벽한 재생은 어렵지만, 치과 분야에서는 손상된 치주 조직을 재생시키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연구 ?: 치주 인대 줄기세포, 치주 줄기세포 등을 이용해  손상된 잇몸뼈나 치주 인대 조직을 재생시키려는 시도가 진행 중입니다.

·?성장인자 및 생체 재료 활용 ?: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는 다양한 성장인자를 주입하거나,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생체 재료를 이식하여 잇몸 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려는 연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미래에는 잇몸 퇴축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만,

현재로서는 ?잇몸 퇴축의 예방과 더 이상의 진행을 막는 것이 최선?이며, 이미 퇴축된 부분은

현재의 기술로 개선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잇몸 건강은 평생 관리입니다!"
 

잇몸 퇴축은 한 번 진행되면 자연적으로 되돌리기 어려운 만큼,

무엇보다 예방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잇몸이 시리거나 내려앉는 증상이 있다면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치과를 방문하여 전문가와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상동21세기치과였습니다.

감사합니다.

^_^